대체 선수 대비 승리 기여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체 선수 대비 승리 기여도(WAR)는 대체 선수에 비해 얼마나 많은 승수를 더했는지 통계적으로 추정한 지표이다. 타격, 주루, 수비, 투구 지표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산출하며, 포지션과 리그, 구장 요소까지 보정하여 선수 간 비교를 가능하게 한다. WAR가 0이면 대체 가능한 수준으로 간주하며, KBO 리그에서는 1982년 박철순을 시작으로 도입되어 선동열이 KBO 역대 최고 WAR 20.407을 기록했다. WAR는 야수와 투수의 기여도를 단일 지표로 평가하고, 적정 연봉 산출에도 활용되지만, 산출 방법의 복잡성과 수비 지표의 한계, 과거 시대 선수에 대한 편향성 등의 비판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야구 기록 - 퍼펙트 게임
퍼펙트 게임은 야구에서 투수가 9이닝 이상 동안 상대팀 타자 전원을 범타 처리하고 단 한 명도 출루시키지 않는 극히 드문 경기를 의미하며, MLB와 NPB에서는 각각 24차례와 16차례 기록되었으나 KBO에서는 아직 없다. - 야구 기록 - 미국야구연구협회
미국야구연구협회(SABR)는 야구 연구를 장려하고 야구 팬, 역사학자, 통계학자 등 다양한 분야의 사람들을 연결하는 단체로, 야구 연구를 위한 위원회, 지부, 컨벤션, 출판물을 운영하며 야구 관련 지식 공유와 야구계 발전에 기여한다. - 야구에 관한 - 퍼펙트 게임
퍼펙트 게임은 야구에서 투수가 9이닝 이상 동안 상대팀 타자 전원을 범타 처리하고 단 한 명도 출루시키지 않는 극히 드문 경기를 의미하며, MLB와 NPB에서는 각각 24차례와 16차례 기록되었으나 KBO에서는 아직 없다. - 야구에 관한 - 홈런
홈런은 야구에서 타자가 친 공이 구장 밖으로 완전히 벗어나거나 펜스를 넘어가는 타구로, 득점으로 연결되며, 일반 홈런, 장외 홈런, 인사이드 더 파크 홈런 등으로 구분되고, 상황별, 종류별 다양한 홈런이 존재한다. - 야구 용어 - 퍼펙트 게임
퍼펙트 게임은 야구에서 투수가 9이닝 이상 동안 상대팀 타자 전원을 범타 처리하고 단 한 명도 출루시키지 않는 극히 드문 경기를 의미하며, MLB와 NPB에서는 각각 24차례와 16차례 기록되었으나 KBO에서는 아직 없다. - 야구 용어 - 메이크도라마
메이크도라마는 일본 프로 야구에서 극적인 역전 우승을 묘사하는 신조어로, 1995년 나가시마 시게오 감독이 요미우리 자이언츠의 우승 의지를 담아 처음 사용했으며, 1996년 요미우리의 센트럴 리그 우승을 통해 사회적 유행어가 되었고, 2016년에는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스가 퍼시픽 리그에서 역전 우승을 달성하며 재조명되었다.
대체 선수 대비 승리 기여도 | |
---|---|
WAR (대체 선수 대비 승리 기여도) | |
분야 | 야구 |
고안자 | 빌 제임스 (비공식) 톰 탱고 (공식) |
첫 등장 시기 | 1990년대 (비공식), 2000년대 (공식) |
측정 대상 | 야구 선수의 시즌별 공헌도 |
활용 | 선수의 가치 평가 및 연봉 협상 |
계산 방법 (세이버메트릭스 WAR) | |
타자 WAR | (타격 WAR) + (주루 WAR) + (수비 WAR) + (포지션 조정) + (대체 선수 수준) |
투수 WAR | (수비 무관 평균 자책점 기반 WAR) + (대체 선수 수준) |
WAR 종류 | |
FanGraphs WAR (fWAR) | FanGraphs에서 제공하는 WAR 지표 |
Baseball-Reference WAR (rWAR 또는 bWAR) | Baseball-Reference에서 제공하는 WAR 지표 |
Baseball Prospectus WARP | Baseball Prospectus에서 제공하는 WAR 지표 |
세부 계산 요소 | |
타격 | 타석 결과 (안타, 볼넷, 홈런 등) |
주루 | 도루, 베이스 진루, 병살타 회피 등 |
수비 | 수비 위치, 수비율, 에러율 등 |
투구 | 삼진, 볼넷, 피안타, 홈런 등 |
2. 정의 및 특징
WAR는 "대체 가능 선수(Replacement)에 비해 얼마나 많은 승수를 더했는가"를 통계적으로 추계한 지표이다.[2] 대체 가능 선수란, 평균 이하의 실력으로 쉽게 획득할 수 있는 선수를 의미한다. 톰 탱고는 "FA 시장에서 최소 연봉 수준으로 획득할 수 있는 선수, 또는 트레이드에서 최소한의 손실로 획득할 수 있는 선수"라고 정의하고 있다.[3]
WAR는 투수와 야수를 불문하고 모든 선수의 기여도를 단일 지표로 평가하고, 동일한 기준으로 비교할 수 있게 해준다.[3] WAR를 통해 적정 연봉을 산출하는 것도 가능하다.[3] 2011년 기준으로 WAR 1당 가치는 400만~500만 달러 전후로 계산된다.[9]
WAR는 타격, 주루, 수비, 투구 등 모든 플레이를 종합하여 계산하며, 리그와 구장에 의한 요소까지 보정한다. 따라서 포지션에 상관없이 선수 비교가 가능하며, 선수의 가치를 단일 지표로 나타낸다.[33] 예를 들어, 미겔 카브레라가 타격 3관왕을 달성했지만, WAR에서는 수비와 주루에서도 평가가 높은 신인 마이크 트라웃이 앞섰다. (fWAR에서는 트라웃이 10.0, 카브레라 6.8, rWAR에서는 트라웃이 10.4, 카브레라가 7.3) 이 때문에 아메리칸 리그의 MVP에 누가 더 적합한가에 대한 논쟁이 발생하기도 했다.[8]
일반적으로 WAR가 0이면 대체 가능한 수준의 선수로 간주된다.[2]
3. KBO 리그에서의 WAR
KBO 리그에서는 1982년 박철순 (OB 베어스)을 시작으로, 선동열, 이종범, 류현진 등 당대 최고의 선수들이 높은 WAR를 기록했다. WAR는 정확한 값보다는 선수들을 그룹으로 나누는 지표로 활용된다. 예를 들어 6.4 WAR와 6.1 WAR 선수는 비슷한 가치를 지니지만, 6.4 WAR와 4.1 WAR 선수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다고 볼 수 있다.[11]
3. 1. KBO 역대 최고 WAR
1986년 선동열 (해태 타이거즈)이 기록한 WAR 값은 20.407로, KBO 리그 역사상 최초이자 현재까지 유일한 20점대 WAR이다.[3]
연도 | 선수 | 소속팀 | WAR |
---|---|---|---|
1982 | 박철순 | OB 베어스 | 18.068 |
1983 | 장명부 | 삼미 슈퍼스타즈 | 19.843 |
1984 | 최동원 | 롯데 자이언츠 | 16.059 |
1985 | 김시진 | 삼성 라이온즈 | 14.257 |
1986 | 선동열 | 해태 타이거즈 | 20.407 |
1987 | 선동열 | 해태 타이거즈 | 13.136 |
1988 | 선동열 | 해태 타이거즈 | 16.547 |
1989 | 선동열 | 해태 타이거즈 | 13.345 |
1990 | 선동열 | 해태 타이거즈 | 13.806 |
1991 | 선동열 | 해태 타이거즈 | 12.835 |
1992 | 염종석 | 롯데 자이언츠 | 9.800 |
1993 | 선동열 | 해태 타이거즈 | 12.999 |
1994 | 이종범 | 해태 타이거즈 | 13.477 |
1995 | 선동열 | 해태 타이거즈 | 11.407 |
1996 | 이종범 | 해태 타이거즈 | 10.877 |
1997 | 이종범 | 해태 타이거즈 | 11.086 |
1998 | 임창용 | 해태 타이거즈 | 9.566 |
1999 | 임창용 | 해태 타이거즈 | 10.025 |
2000 | 데니 해리거 | 현대 유니콘스 | 8.348 |
2001 | 펠릭스 호세 | 롯데 자이언츠 | 8.543 |
2002 | 이승엽 | 삼성 라이온즈 | 9.705 |
2003 | 심정수 | 현대 유니콘스 | 11.033 |
2004 | 클리프 브룸바 | 현대 유니콘스 | 9.062 |
2005 | 오승환 | 삼성 라이온즈 | 7.531 |
2006 | 류현진 | 한화 이글스 | 8.903 |
2007 | 다니엘 리오스 | 두산 베어스 | 9.314 |
2008 | 김현수 | 두산 베어스 | 8.160 |
2009 | 김현수 | 두산 베어스 | 7.449 |
2010 | 류현진 | 한화 이글스 | 9.961 |
2011 | 최형우 | 삼성 라이온즈 | 8.272 |
2012 | 강정호 | 넥센 히어로즈 | 8.911 |
2013 | 최정 | SK 와이번스 | 7.999 |
2014 | 서건창 | 넥센 히어로즈 | 7.92 |
2015 | 에릭 테임즈 | NC 다이노스 | 10.87 |
2016 | 최형우 | 삼성 라이온즈 | 7.75 |
2017 | 김재환 | 두산 베어스 | 7.39 |
3. 2. 연도별 KBO 리그 최고 WAR (1982-2017)
연도 | 선수 | WAR |
---|---|---|
1982 | 박철순 | 18.068 |
1983 | 장명부 | 19.843 |
1984 | 최동원 | 16.059 |
1985 | 김시진 | 14.257 |
1986 | 선동열 | 20.407 |
1987 | 선동열 | 13.136 |
1988 | 선동열 | 16.547 |
1989 | 선동열 | 13.345 |
1990 | 선동열 | 13.806 |
1991 | 선동열 | 12.835 |
1992 | 염종석 | 9.800 |
1993 | 선동열 | 12.999 |
1994 | 이종범 | 13.477 |
1995 | 선동열 | 11.407 |
1996 | 이종범 | 10.877 |
1997 | 이종범 | 11.086 |
1998 | 임창용 | 9.566 |
1999 | 임창용 | 10.025 |
2000 | 데니 해리거 | 8.348 |
2001 | 펠릭스 호세 | 8.543 |
2002 | 이승엽 | 9.705 |
2003 | 심정수 | 11.033 |
2004 | 클리프 브룸바 | 9.062 |
2005 | 오승환 | 7.531 |
2006 | 류현진 | 8.903 |
2007 | 다니엘 리오스 | 9.314 |
2008 | 김현수 | 8.160 |
2009 | 김현수 | 7.449 |
2010 | 류현진 | 9.961 |
2011 | 최형우 | 8.272 |
2012 | 강정호 | 8.911 |
2013 | 최정 | 7.999 |
2014 | 서건창 | 7.92 |
2015 | 에릭 테임즈 | 10.87 |
2016 | 최형우 | 7.75 |
2017 | 김재환 | 7.39 |
선동열이 1986년에 기록한 WAR 값인 20.407은 최초이자 현재까지 유일한 20점대 WAR 값이다.
4. 산출 방법
WAR의 구체적인 산출 방법은 정의되어 있지 않으며, 여러 가지 방법론이 존재한다. 주요 WAR 산출 기관으로는 FanGraphs(fWAR), Baseball Reference(bWAR 또는 rWAR), Baseball Prospectus 등이 있다. 일본프로야구(NPB)에서는 DELTA와 데이터 스타디움의 WAR가 유명하다.[7]
WAR는 "'''대체 가능 선수(Replacement)에 비해 얼마나 많은 승수를 더했는가'''"를 통계적으로 추계한 지표이다.[2] 대체 가능 선수란, "평균 이하의 실력으로, 쉽게 획득할 수 있는 선수"를 의미한다. 톰 탱고는 "FA 시장에서 최소 연봉 수준으로 획득할 수 있는 선수, 또는 트레이드에서 최소한의 손실로 획득할 수 있는 선수"라고 정의한다.[3]
WAR는 타격, 주루, 수비, 투구 지표 등을 종합적으로 사용하여 추계한다. 구체적인 세부 산출 방법은 정해져 있지 않으며, 각 부문의 지표에 무엇을 사용할지는 산출자에게 맡겨져 있다. 그렇기 때문에 산출 방법이 여러 가지이고, 값도 달라진다. 현재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MLB)에서는 FanGraphs, Baseball Reference, Baseball Prospectus가 독자적인 WAR를 산출하고 있다. 특히 FanGraphs판(fWAR)과 Baseball Reference판(bWAR 또는 rWAR)이 유명하며,[6] ESPN은 Baseball Reference판(rWAR)을 공식 기록으로 채택하고 있다.[4]
WAR에서는 포지션별 수비 부담을 고려하여 보정 값을 적용한다. 다음은 2020년 현재 미국과 일본의 주요 세이버메트릭스 사이트에서 사용하는 수비 위치 보정 값이다.[12][13][14]
Baseball Reference | FanGraphs | DELTA | |
---|---|---|---|
대상 | MLB | MLB | NPB |
포수 | +9.0 | +12.5 | +18.1 |
유격수 | +7.0 | +7.5 | +10.3 |
2루수 | +3.0 | +2.5 | +3.4 |
중견수 | +2.5 | +2.5 | +4.2 |
3루수 | +2.0 | +2.5 | -4.8 |
우익수 | -7.0 | -7.5 | -5.0 |
좌익수 | -7.0 | -7.5 | -12.0 |
1루수 | -9.5 | -12.5 | -14.1 |
지명 타자 | -15.0 | -17.5 | -15.1 |
기준 경기 수 | 150경기 | 162경기 | 143경기 |
각 사이트마다 기준 경기 수가 다르므로, 보정 값 비교 시 주의해야 한다.
4. 1. 야수 WAR
WAR은 한 선수가 기록한 모든 종목의 성적을 바탕으로 계산되며, 선수의 포지션과 해당 연도의 상황까지 포함한다. 리그와 구장에 의한 요소까지도 보정하여 포지션에 상관없이 선수 비교가 가능하기 때문에 WAR을 자주 사용한다.[33] 야수 WAR는 타격, 주루, 수비, 포지션 보정 등 다양한 요소를 종합하여 계산한다.4. 1. 1. FanGraphs (fWAR)
FanGraphs(fWAR)는 타격, 수비, 주루, 타석 수 보정을 종합하여 선수의 기여도를 평가한다.1. 타격 지표 (wRAA):
- wRAA(Weighted Runs Above Average, 평균 대비 득점 생산): 타자가 리그 평균 타자에 비해 얼마나 많은 득점을 팀에 기여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이다.[16]
- wRAA 산출 방법: ((wOBA[17] - 리그 wOBA) / 1.15) × 타석 수
- 2008년 매트 홀리데이의 wRAA: (.418 - .333) / 1.15 × 623 = 46.05 (팀 득점을 46점 증가)
- 파크 팩터 보정: 구장 특성을 고려하여 wRAA를 보정한다. 2008년 쿠어스 필드의 파크 팩터는 1.126이므로, 홀리데이의 보정 wRAA는 39가 된다.
2. 수비 지표 (UZR):
- UZR(Ultimate Zone Rating): 2002년 이후 데이터로 산출되며, 동일 포지션의 평균적인 선수에 비해 수비로 얼마나 많은 실점을 막았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 포수의 경우 UZR 대신 FRM(스트라이크 존 경계의 볼을 구심에게 스트라이크로 판정받게 하여 막은 점수), rSB(도루 저지로 막은 점수), RPP(포일이나 폭투 방지로 막은 점수)를 고려한다.[18][19]
- 2008년 홀리데이의 UZR: 9.1 (팀 실점을 9.1점 감소)
- 포지션 보정: 수비 위치에 따른 수비력 수준과 기여도 차이를 고려하여 보정한다. (1458수비 이닝마다 보정 값 적용)
- 2008년 홀리데이는 162경기 중 139경기(86%)에서 좌익수로 출전했으므로, 보정 UZR은 9.1 + (-7.5 × 0.86) = 약 2.7이 된다.
3. 주루 지표 (BsR):
- BsR(Base Running): UBR(Ultimate Base Running), wSB(Weighted Stolen Base Runs), wGDP (Weighted Double Play Runs)를 합산하여 산출한다.[20] UBR 데이터는 2002년 이후로 한정된다.
- UBR: 평균적인 선수에 비해 도루를 제외한 주루로 얼마나 많은 득점을 팀에 기여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 wSB: 평균적인 선수에 비해 도루로 얼마나 많은 득점을 팀에 기여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 wGDP: 평균적인 선수에 비해 병살타를 얼마나 덜 쳤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4. 타석 수 보정:
- 타석 수가 많을수록 대체 선수 기용을 줄였다고 보아 보정을 적용한다.[15]
- 대체 선수는 600타석 당 20득점 손실로 정의하고, (타석 수 ÷ 600) × 20으로 보정한다.
- 2008년 홀리데이의 타석 수 보정 값: 623타석이므로 약 20.8
5. RAR (대체 선수 대비 득점 기여도) 및 WAR:
- RAR: 보정 wRAA, 보정 UZR, 타석 수 보정을 합산하여 대체 선수 대비 득점 기여도를 산출한다.
- 2008년 홀리데이의 RAR: 39 + 2.7 + 20.8 = 62.5
- WAR로 변환: 피타고리안 승률에 의해 10 RAR = 1 WAR
- 2008년 홀리데이의 WAR: 62.5 ÷ 10 = 6.25 (대체 선수에 비해 팀에 6.25승 추가 기여)
4. 1. 2. Baseball Reference (bWAR/rWAR)
Baseball Reference에서 사용하는 bWAR/rWAR은 타격, 주루, 병살타, 수비, 수비 위치 보정, 대체 수준 득점의 6가지 지표를 통해 계산된다.# 타격 득점 산출
#: fWAR와 마찬가지로 wOBA를 기반으로 wRAA를 산출한다. 이때 내야 안타와 외야 안타, 삼진과 그 외 아웃을 구분하여 계산한다. 과거 3년간의 파크 팩터로 보정을 가한다.
# 주루 득점 산출
#: 도루, 도루 실패로 인한 포인트와 도루 이외의 진루로 인한 포인트를 합산한다. 진루는 주자의 상황, 타구의 질, 폭투, 견제사 등에 따라 총 33가지 패턴으로 구분된다.
# 병살타 득점 산출
# 수비 득점 산출
#: UZR이 아닌 DRS를 사용한다. DRS가 개발된 2003년 이전 연도는 TZR로 대체한다.
# 수비 위치 보정 득점 산출
#: 150경기 × 9이닝 = 1350 수비 이닝마다 보정 값을 더한다.
# 대체 수준 득점 산출
# 6가지 득점의 합계(RAR: Runs Above Replacement level)를 WAR로 변환
4. 1. 3. 수비 위치 보정
WAR에서는 포지션별 수비 난이도를 고려하여 보정 값을 적용한다. 일반적으로 포수, 유격수, 2루수, 중견수 등 수비 부담이 큰 포지션일수록 높은 보정 값을 받는다. 각 기관별 수비 위치 보정 값은 다소 차이가 있다.4. 2. 투수 WAR
투수 WAR는 투구 결과로 나타나는 자책점(실점) 또는 FIP를 기반으로 계산한다. 이때, rWAR는 DRS를 사용하여 수비의 영향을 고려하는 반면, fWAR는 FIP를 사용하여 수비의 영향을 배제한다.[3]Baseball Reference에서는 실점을 기준으로, FanGraphs에서는 FIP를 기준으로 투수 WAR를 계산한다.[3]
4. 2. 1. Baseball Reference (rWAR)
Baseball Reference에서 제공하는 rWAR는 투수가 허용한 실점을 기반으로 계산하며, 야수의 수비에 의한 실점 증감을 고려하여 투수를 평가한다.[3] 수비의 영향은 DRS(Defensive Runs Saved)를 사용하여 고려하며, 2002년 이전에는 DRS가 없었으므로 TZR(Total Zone Runs)로 대체한다.[3]rWAR의 계산 과정은 다음과 같다.
# 상대 팀을 고려한 추정 실점(xRA) 산출.
# 교류전 보정 (지명타자 제도 유무에 따른 득점 환경 차이 보정).
# 팀 수비로 막은 실점(xRA_def) 계산.
# 선발과 구원의 차이에 따른 보정 값(xRA_sprp_adj) 산출.
# 파크 팩터 보정(PPF_custom) 적용.
# 최종 추정 실점(xRA_final) 산출.
# xRA_final을 사용한 유사 승률(Win-Loss%) 산출 (PythagenPat식 사용).
# 평균 투수 대비 추가 승수, WAA(Wins Above Average) 산출.
# 등판 국면 보정 WAA(WAA_adj) 산출 (Leverage Index 사용).
# 대체 선수 대비 추가 승수(WAR_rep) 산출.
# WAR 산출 (WAR = WAR_rep + WAA_adj).
이처럼 여러 지표를 조합하므로 rWAR 산출 방법은 매우 복잡하다.[3]
2020년 현재, 미국과 일본의 주요 세이버메트릭스 사이트에서는 수비 위치에 따라 다른 보정 값을 사용한다.[12][13][14]
Baseball Reference | FanGraphs | DELTA | |
---|---|---|---|
대상 | MLB | MLB | NPB |
포수 | +9.0 | +12.5 | +18.1 |
유격수 | +7.0 | +7.5 | +10.3 |
2루수 | +3.0 | +2.5 | +3.4 |
중견수 | +2.5 | +2.5 | +4.2 |
3루수 | +2.0 | +2.5 | -4.8 |
우익수 | -7.0 | -7.5 | -5.0 |
좌익수 | -7.0 | -7.5 | -12.0 |
1루수 | -9.5 | -12.5 | -14.1 |
지명타자 | -15.0 | -17.5 | -15.1 |
기준 경기 수 | 150경기 | 162경기 | 143경기 |
각 사이트마다 기준 경기 수가 다르므로, 보정 값 비교 시 주의해야 한다. 예를 들어, Baseball-Reference는 포수로 150경기 출장 시 +9.0점 보정을 받는다.
162경기당 수비 위치 보정 값은 다음과 같다.
Baseball Reference | FanGraphs | DELTA | |
---|---|---|---|
대상 | MLB | MLB | NPB |
포수 | +9.7 | +12.5 | +20.5 |
유격수 | +7.6 | +7.5 | +11.7 |
2루수 | +3.2 | +2.5 | +3.9 |
중견수 | +2.7 | +2.5 | +4.8 |
3루수 | +2.2 | +2.5 | -5.4 |
우익수 | -7.6 | -7.5 | -5.7 |
좌익수 | -7.6 | -7.5 | -13.6 |
1루수 | -10.3 | -12.5 | -16.0 |
지명타자 | -16.2 | -17.5 | -17.1 |
5. 평가 기준
WAR(대체 선수 대비 승리 기여도) 값에 따른 선수 평가 기준은 기관별로 다소 차이가 있다. 일반적으로 WAR가 높을수록 팀에 대한 기여도가 높은 선수로 평가된다.
평가 | fWAR | rWAR |
---|---|---|
MVP | 6.0 이상 | 8.0 이상 |
슈퍼스타 | 5.0 - 6.0 | |
올스타 | 4.0 - 5.0 | 5.0 이상 |
좋은 선수 | 3.0 - 4.0 | |
주전 선수 | 2.0 - 3.0 | |
선발 멤버 | 1.0 - 2.0 | 2.0 이상 |
백업 선수 | 1.0 이하 | 0-2.0 |
대체 선수 | 0 미만 | 0 미만 |
일반적으로 WAR는 투수보다 야수가 더 높게 나오기 쉽다. 2013년 WAR 상위 10명 중, 투수는 fWAR가 2명, rWAR가 3명으로 야수에 비해 적었다. 일본의 선수나 팬들 사이에서는 "승패는 거의 투수력으로 결정된다"는 통설이 널리 퍼져 있어, 종종 투수 WAR와 야수 WAR의 비교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는 목소리가 있다.[23]
6. 유효성 및 한계
세이버메트릭스에서 수비 평가는 아직 발전 단계에 있으며, UZR이나 수비율(DRS) 같은 수비 지표들은 서로 크게 다른 결과가 나오는 경우가 적지 않다.[24] 그 원인은 아직 확실하게 밝혀지지 않았기 때문에, 현시점에서 WAR는 완벽한 지표라고 할 수 없으며 개선의 여지가 있다고 여겨진다.[3]
예를 들어 마쓰이 히데키의 경우 UZR을 사용하는 fWAR는 통산 12.7, 커리어 하이 2.8(2004년)이지만, DRS를 사용하는 rWAR는 통산 21.2, 커리어 하이 5.0(2004년)으로 큰 차이를 보인다.[26] 이는 수비 지표에 따라 WAR 값이 크게 달라질 수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수비 지표는 타격 지표에 비해 연도별 편차가 크다. 예를 들어 이치로는 2010년부터 2012년까지 우익수 UZR이 14.1 → -4.4 → 12.4로 1년 만에 20 전후의 큰 변화를 보였다. UZR이나 DRS는 수비에 의한 기여도를 나타내며, 선수 능력 평가를 위해서는 3년 정도의 기간을 두고 살펴봐야 한다.[27] WAR 역시 마찬가지로, 한 시즌의 WAR 값은 선수의 능력을 직접 나타내는 것이 아니다.[3]
6. 1. 유효성
WAR의 등장으로, 선수의 종합적인 기여도를 단일 지표로 평가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투수와 야수를 불문하고 모든 선수를 동일한 기준에서 비교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팀에 대한 기여도를 승리 수라는 알기 쉬운 기준으로 평가할 수 있기 때문에, WAR를 이용한 적정 연봉 산출도 용이하다.[3] WAR 1당 적정 연봉은 리그의 총 연봉과 최저 연봉을 기준으로 산출된다. 최근에는 상승 추세에 있지만 2011년 기준 WAR 1당 400만달러~500만달러 전후로 계산된다.[9]6. 2. 한계
WAR은 여러 지표를 조합하여 계산하기 때문에 산출 방법이 매우 복잡하다.[3] WAR을 산출하는 기관마다 다른 방법론을 사용하며, 대략적인 틀은 일치하고 대체 선수 수준의 설정도 통일되어 있지만,[22] 각 기관의 산출 방식 차이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위 표에서 각 기관별 기준 경기 수가 다르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예를 들어 Baseball-Reference의 경우 포수로 150경기에 출장하면 +9.0점의 보정을 받지만, 162경기에 출장하면 +9.72점의 보정을 받는다.
세이버메트릭스에서 수비 평가는 아직 발전 단계에 있으며, UZR이나 수비율(DRS)과 같은 수비 지표들은 서로 크게 다른 결과가 나오는 경우가 적지 않다.[24] 그 원인은 아직 확실하게 밝혀지지 않았기 때문에, 현시점에서 WAR는 완벽한 지표라고 할 수 없으며 개선의 여지가 있다고 여겨진다.[3]
예를 들어 마쓰이 히데키의 경우 UZR을 사용하는 fWAR는 통산 12.7, 커리어 하이 2.8(2004년)이지만, DRS를 사용하는 rWAR는 통산 21.2, 커리어 하이 5.0(2004년)으로 큰 차이를 보인다.[26] 이는 수비 지표에 따라 WAR 값이 크게 달라질 수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수비 지표는 타격 지표에 비해 연도별 편차가 크다. 예를 들어 이치로는 2010년부터 2012년까지 우익수 UZR이 14.1 → -4.4 → 12.4로 1년 만에 20 전후의 큰 변화를 보였다.
UZR이나 DRS는 수비에 의한 기여도를 나타내며, 선수 능력 평가를 위해서는 3년 정도의 기간을 두고 살펴봐야 한다.[27] WAR 역시 마찬가지로, 한 시즌의 WAR 값은 선수의 능력을 직접 나타내는 것이 아니다.[3]
7. 비판
빌 제임스는 과거 시대의 선수에게 유리한 바이어스가 있다고 주장했다. 그 당시 기술 수준의 편차가 커서 "최고의 선수는 현재보다 평균에서 더 멀리 떨어져 있었다"는 것이 그 이유였다.[28] 그의 주장에 따르면, 현대 야구에서는 1800년대나 1900년대의 데드볼 시대나 라이브볼 시대에 비해 선수가 동시대 선수들의 능력을 뛰어넘기가 더 어려워졌다.[28]
제임스의 비판은 진화 생물학자인 스티븐 제이 굴드가 1996년에 출판한 책에서 비롯되었으며, 타율에 대해서도 비슷한 논의가 있었다.[29] 굴드와 제임스가 언급한 바이어스는 WAR에 기반한 랭킹이 실제로는 초기 시대 선수들을 많이 포함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통계적 연구를 통해 확인되었다.[30] 이 연구는 WAR이 시대 차이를 적절하게 조정하고 있다는 입장에 의문을 제기했다.[31]
제임스는 WAR의 적용과 사용 방식도 비판했다. 2017년 메이저 리그 아메리칸 리그 최우수 선수상 수상자를 두고 호세 알투베와 애런 저지 사이에 논쟁이 벌어졌는데, 제임스는 WAR을 사용하는 것은 "엉터리"라고 말했다. 그는 "애런 저지의 가치는 호세 알투베에 턱없이 미치지 못한다"며, WAR 통계를 만든 사람이 성적 통계와 승리의 관계를 끊어버렸기 때문에 분석이 약화되었다고 주장했다.[32] 또한, 저지는 접전 후반 등 중요한 상황에서 알투베보다 성적이 좋지 않았으며, WAR은 이 점을 적절하게 고려하지 못한다고 지적했다.[32]
참조
[1]
웹사이트
WAR(Wins Above Replacement)
https://1point02.jp/[...]
2019-04-08
[2]
웹사이트
WAR
http://www.fangraphs[...]
2010-02-15
[3]
웹사이트
Everything you always wanted to know about: WAR
http://sports.yahoo.[...]
2009-12-30
[4]
웹사이트
What we talk about when we talk about WAR
http://espn.go.com/b[...]
[5]
웹사이트
Major League Leaderboards » 2018 » Batters » Dashboard
https://www.fangraph[...]
2019-04-08
[6]
웹사이트
What is WAR?
http://www.fangraphs[...]
[7]
웹사이트
総合指標「WAR」でわかる選手の価値
https://sports.yahoo[...]
2020-04-03
[8]
웹사이트
The case for Miguel Cabrera over Mike Trout for AL MVP
http://sportsillustr[...]
2013-09-30
[9]
웹사이트
Win Values Explained: Part Six
http://www.fangraphs[...]
FanGraphs
2013-07-02
[10]
웹사이트
松坂大輔 レッドソックス1億ドル投資の収支決算
http://blog.livedoor[...]
2011-06-09
[11]
웹사이트
What is WAR?
https://library.fang[...]
2010-02-15
[12]
웹사이트
Position Player WAR Calculations and Details
https://www.baseball[...]
Baseball-Reference
2020-04-03
[13]
웹사이트
Positional Adjustment
https://library.fang[...]
FanGraphs
2020-04-03
[14]
웹사이트
守備位置補正
https://1point02.jp/[...]
DELTA
2020-04-03
[15]
웹사이트
WAR Lords of the Diamond (Position Players)
http://www.beyondthe[...]
2009-06-12
[16]
웹사이트
用語集 - セイバーメトリクス 野球データ分析コラム
http://www.baseball-[...]
[17]
문서
wOBA(Weighted On Base Average)の算出方法は「(0.72*[[故意四球|敬遠]]を除いた[[四球]] + 0.75×[[死球]] + 0.90×単打 + 0.92×[[失策]]出塁 + 1.24×[[二塁打]] + 1.56×[[三塁打]]+1.95×[[本塁打]] / 打席数」
[18]
웹사이트
WAR Update: Catcher Framing!
https://blogs.fangra[...]
2020-12-17
[19]
웹사이트
Catcher Defense
http://www.fangraphs[...]
[20]
웹사이트
BsR FanGraphs Sabermetrics Library.
https://www.fangraph[...]
FanGraphs
2018-04-13
[21]
웹사이트
Infield Flies, FIP, and WAR
http://www.fangraphs[...]
FanGraphs
2013-06-30
[22]
웹사이트
fWAR and rWAR
http://www.fangraphs[...]
FanGraphs
2013-12-05
[23]
웹사이트
Answers
http://www.baseballg[...]
Baseball Graphs
2013-12-05
[24]
웹사이트
John Dewan (and research assistant) speak!
http://www.insidethe[...]
Tangotiger
2014-02-13
[25]
웹사이트
Substituting DRS for UZR in WAR
http://www.fangraphs[...]
2010-02-15
[26]
웹사이트
Hideki Matsui
http://www.fangraphs[...]
FanGraphs
2013-07-03
[27]
웹사이트
UZR
http://www.fangraphs[...]
FanGraphs
2013-07-03
[28]
문서
Schoenfield
[29]
서적
Full House: The Spread of Excellence from Plato to Darwin
https://books.google[...]
Harmony Books
2011-10
[30]
논문
Challenging Nostalgia and Performance Metrics in Baseball
https://www.tandfonl[...]
2020
[31]
웹사이트
Challenging WAR and Other Statistics as Era-Adjustment Tools
https://community.fa[...]
FanGraphs
2021-07-21
[32]
웹사이트
Baseball statisticians are fighting over what makes a player valuable
https://qz.com/11392[...]
2020-11-07
[33]
뉴스
WAR이란 무엇인가
http://navercast.nav[...]
네이버캐스트
2011-06-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